Journal
Journal
KSUM Journal KSUM Journal
Journal SearchJournal Search
Introduction
> Journal > Journal 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ltrasound in Medicine 1997 ; 16 (3) : p.277-283

Ultrasonography of the Progressive Muscular Disease
Byung Chul Kang, M.D., Sun Wha Lee, M.D., Seung Yon Baek, M.D., Hye Young Choi, M.D., Ki Whang Kim, M.D.², Jung Sik Yu, M.D.²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²,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목적: 진행성 근육 질환의 초음파소견의 단계와 임상적(기능적) 단계와의 연관성을 살펴봄으로서 초음파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함. 대상 및 방법: 진행성 근이형성증 환자 20명, 척추근육위축 2명, 선천성근육경직증 2명, 선천성 근증 2명을 대상으로 대퇴부와 장단지에서 초음파를 시행하여 침범된 근육의 에코정도와 대퇴골(또는 경골) 피질의 명확성을 기준으로 초음파 단계를 나누어, Grade І은 정상, Grade Ⅱ는 침범근육의 에코의 증가소견만 관찰될 때, Grade Ⅲ는 침범근육의 에코의 심한 증가와 대퇴골(또는 경골) 피질의 불명확성이 관찰될때, Grade Ⅳ는 침범근육의 에코증가와 후방음영(posterior attenuation)으로 골피질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였다(Fig. 1,2). 이러한 초음파단계를 Swinyard가 제안한 임상진행정도에 의한 기능적 단계(Table 1) 및 근육생검소견(근육생검소견은 대퇴부나 장단지 근육에서 시행하였고, 검체내의 지방 또는 결체조직의 함유율에 따라서 І~Ⅳ로 구분함, Table 2)과 비교하였다. 결과: 대퇴부에서, 기능적으로 좀더 덜 진행된 1~3단계 12명에서는 Grade І이 9명, 중등도인 Grade Ⅱ가 2명, 가장 심한 Grade Ⅲ가 1명으로 관찰되었다. 기능적으로 좀더 진행된 4~8단계 14명에서는 Grade І이 0명, 중도도인 Grade Ⅱ가 2명,가장심한 Grade Ⅲ가 12명으로 관찰되었다. 장단지에서, 기능적 1~3단계 12명에서 초음파상 Grade І이 6명, Grade Ⅱ가 6명으로 관찰되었고, 기능적 4~8단계 14명에서 초음파상 Grade Ⅱ가 11명, Grade Ⅲ이 3명을 관찰되었다. 근육생검에서 근육내의 지방 및 결체조직의 함유율이 높을수록 초음파등급은 증가하였다(Fig.3) 결론: 진행성 근이형성증의 초음파소견은 진행이 됨에 따라 근육의 위축과 지방침착이 심한 에코정도로 나타났고, 장단지와 대퇴부에서 기능적 단계와 초음파단계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즉, 근육 초음파로서 진행성 근육 질환의 임상적(기능적)단계를 예측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방법으로 앞으로 임상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 : Progressive muncular dystrophy, Spinal muncular atrophy, Myotonia congenita, Congenital myopathy, Ultrasound
[Back]